기술이 인증된 바이메탈 반전구조
독특한 저단면 설계
감열부 보호구조
공칭작동온도 75℃, 1종

정온식 스포트형 열감지기는 바이메탈이 열에 의해 반전될 때 접점이 연결되는 원리를 이용하였습니다. 주위온도가 상승하여 공칭작동온도보다 125% 높은 93.75℃가 되면 바이메탈이 반전됩니다. 이때 발생되는 힘에 의해 가동접점이 이동하여 고정접점에 연결되므로 폐회로가 형성됩니다. 이때 동작확인등이 점등되고 100mA이하의 전류를 흘릴 수 있습니다.

기술이 인증된 공기팽창식 구조
가동/고정접점의 예각구조 실현
  (실용실안 제121894호)
회로부를 본체에 내장(실용실안 제121894호)
주위온도가 일정 상승률 이상으로 상승하면 감열실 내부의 온도상승으로 공기가 팽창하여 다이아후렘을 상부로 밀어줍니다. 이때 접점이 동작하면 동작확인등이 점등되고 100mA이하의 전류를 흘릴 수 있습니다. 또한 온도 상승률이 완만할 때는 리크홀로 공기가 빠져나가 감지기의 오동작을 방지합니다.

저전력 소비형
독특한 저단면 설계
전자파 및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 방지기능
곤충, 먼지로부터의 내부 보호기능

감지기에 전원이 공급되면 연기입자 검출용 발광부가 발진회로에 의해 약 3초 에 1회 500주기의 펄스를 발생하여 이 주기 동안 발광합니다. 이때 검출 부 내부에 연기가 들어가 산란광이 발생하면 그 산란광이 수광부에 감지되며 검출되는 광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광부의 출력도 증가하게 됩니다. 이 출력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기준전압보다 높으면 다음 주기의 펄스신호에 동기되어 감지기가 동작합니다.

신속하고 정확한 화재감시
곤충.먼지로부터 내부 보호기능
방사선 외부노출 완벽방지 장치
저전력 소비회로 채택
* 교체 또는 폐기시 제작사로
   반송하여 주십시오.
 

연기가 감지기에 들어오면 감지기 내부에 있는 방사선원(Am241)에서 방출되는 α선등이 연기입자에 가려 이온전류가 감소하는 것을 이용하여 연기를 검출한다. 이온전류의 감소분만큼 미세한 전압이 변화되며 이 변화가 일정레벨을 넘으면 화재 신호를 발생한다.

2개의 4Bit 원칩 마이크로 프로세서 내장
수신기와 통신은 Polling Addresing방식
Dip Switch에 의한 고유주소 설정)
감지기의 온도상태 모니터링
내장된 D/A 변환기로 수신기로부터 화재시험가능
독특한 저단면 설계
소프트웨어에 의한 오동작 방지기능

평상시 수신기는 순차적으로 감지기를 호출하며 감지기는 이 신호를 검출하여 응답합니다. 이때 설정된 고유주소와 일치하는 감지기는 내부 제어회로를 기동합니다. 한편 열검출 소자인 써미스터는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소자로서 일정전류를 공급하여 출력전압을 얻습니다.

8Bit 원칩 마이크로 프로세서 내장
수신기와 통신은 Polling Addressing방식
Dip Switch에 의한 고유주소 설정
1, 2, 3종 농도에서 수신기로 신호전송
감지기의 농도상태 모니터링
저전력 소비형
독특한 저단면 설계
전자파 및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 방지기능
곤충, 먼지로부터의 내부 보호기능
환경보상기능

연기에 의한 산란광 검출원리를 이용한 광전식 다신호 연감지기입니다. 각각 개별의 고유주소를 갖고 있으며, 수신기에서 주기적인 호출시 응답하고 화재시 동작확인등이 점등하며 화재신호를 수신기로 전송합니다. 수신기에서 주기적인 호출에 의해 검출부가 기동되면 발광부가 발광합니다. 검출부에 연기가 들어가 산란광이 생성되면 수광부의 출력이 증가합니다. 이 출력변화가 전류로 변환되며 수신기에서 전류를 검출하여 3단계의 감도 레벨로 식별하여 서로 다른 제어를 출력합니다.

8Bit 원칩 마이크로 프로세서 내장
수신기와 통신은 Polling Addressing방식
Dip Switch에 의한 고유주소 설정
연기농도 변화를 수신기로 신호전송
감지기의 농도상태 모니터링
저전력 소비형
독특한 저단면 설계
전자파 및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 방지기능
곤충, 먼지로부터의 내부 보호기능
환경보상기능

연기에 의한 산란광 검출원리를 이용한 광전식 아나로그 연감지기입니다. 각각 개별의 고유주소를 갖고 있으며, 수신기에서 주기적인 호출시 응답하고 화재시 동작확인등이 점등하며 화재신호를 수신기로 전송합니다. 수신기에서 주기적인 호출에 의해 검출부가 기동되면 발광부가 발광합니다. 검출부에 연기가 들어가 산란광이 생성되면 수광부의 출력이 증가합니다. 이 출력변화가 전류로 변환되며 수신기에서 전류를 검출하여 연기의 농도를 확인합니다.

오늘날 이용 가능한 가장 정교한
  "Detector Intelligence"
비화재보와 실화재를 구별하는 FirePrint 기술
선택된 화재특성에 기초한 Pre-Alarm 보고기능
원격감도의 측정 가능
감지기로부터 3가지의 입력에 기초한 System
  논리 활동(연기, 열, neural network)
자동 환경보상에 기초한 EnviroLINK software
선택사양의 program 가능한 relay base,
  audible base와duct housing
UL, ULC에의 등록
 

열과 연기를 감지할 수 있는 열·연기 복합감지기로 열은 정온식 감지기 기능으로 정확한 온도를 감지하여 수신기에 화재 정보를 제공하다가 화재 단정온도(65℃)를 감지하면 화재신호를 발하며,
또한 대기중의 연기농도를 감지, 연기농도의 변화를 수신기에 제공하여 정확한 화재 상황판단을 할 수 있으며, 자기 고유 번호를 가지고 있어 감지기 동작의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으며, 연기 감지에는 아날로그 기능이 있어 연기 농도의 변화를 정확히 판단하여 신속한 화재 감지를 한다.

Microprocessor에 기초한 설계
차동식과 정온식 기능
고속도의 혁신적인 기술, Fault Tolerant System/
  감지기 통신
감지기 상태확인 위한 Multi-color LED
선택사양의 프로그램 가능한 Relay Base,
  Audible Base
Two-wire 작동
이전 MXL System과의 호환성
  (Rev 2와 그 이상의 버전)
SensorLINK, FPI-32와의 호환성
UL, ULC에의 등록
 

정온식과 차동식의 복합감지기로 정온식은 정확한 온도변화를 감지하는 충격방지 Thermistor를 사용하여 순간적인 온도정보를 수신기에 제공하며 차동식은 분당 15℃의 온도변화를 감지하는 차동방식으로 화재를 감지하면서 화재 단정온도(65℃)에 도달하면 화재 신호를 발하는 보상식 감지기이다. 또한 본 감지기는 자기 고유번호를 가지고 있어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으며 아날로그 기능이 있어 감지기가 있는 장소의 온도변화를 알 수 있다.

감지기 내부가 완전 밀봉으로 가스 등 침입불가
내압 방폭 구조
주위 온도에 의한 선택이 다양함
  (공칭작동온도:70℃,90℃,120℃,130℃)
4방출까지 분기 가능한 베이스 사용
내압 방폭 구조로 된 베이스 사용

감지기의 외부도체가 주위온도 변화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확대 또는 수축되는 특수한 재질을 사용하고, 그 변화에 의하여 감지기 내부에 내장된 접점을 on, OFF 시키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주위온도가 일정온도(공칭작동온도)이상으로 상승하면 감지기 외부도체가 확대되고 내장된 접점이 쇼트되어 화재신호를 발하고, 온도가 감소되면 감지기 외부도체가 수축되어 내장된 접점이 떨어집니다. 감지기 내부(접점)는 완전 밀봉되어 발화성 가스등이 감지기 내부로 침입이 안되기 때문에 방폭지역에 사용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공기관식
최대 공기관길이 100m, 최소 20m
공기주입 시험에 의한 동작시험
내부식 도장의 공기관

공기관이 설치된 영역이 화재로 인하여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면 공기관내에 주입되어 있던 공기가 팽창합니다. 팽창된 공기는 다이아후렘에 이르며 공기의 팽창력에 따라 접점이 동작합니다. 평상시 온도가 완만히 상승할 때 (예를 들면 난방시) 공기관내의 팽창된 공기는 리크구멍을 통하여 배출되어 다이아후렘을 팽창시키지 못하여 접점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화재가 발생했을 때에는 공기의 팽창력이 크므로 리크구멍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바로 다이아후렘을 팽창시켜 접점이 동작합니다.
 

단순한 작동원리로 오동작 없슴
공칭작동온도 90℃, 1종
하나의 회로로 1067m까지 포설가능
뛰어난 내분진성, 내화학성, 내습성
시공 및 보수가 용이
반영구적인 수명
LT90-I (실내용), LT90-O (실외용)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는 서로 꼬인 강철선이 원형으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힘을 이용한 것입니다. 내열성능이 아주 작고 전기적 절연재인 열검출용 절연체로 강철선의 외부를 피복한 다음 두 가닥의 절연된 강철선을 새끼처럼 꼰 것을 다시 보호테잎으로 감은 후 난연성 재질로 피복을 입힌 것입니다. 화재가 발생하면 열 검출용 절연체가 녹으며 서로 꼬인 강철선은 선간단락이 일어나므로 수신기에서 화재로 처리하게 됩니다.

송광부와 수광부로 구성
연기를 직선상에서 감지하기 때문에
  국소적 일과성 연기에 의한 오동작 방지
소형으로 어느곳에서나 잘 조화되는
  미려한 외관
특수한 공구없이 취부 및 광축 조정이 용이
천정이 높거나 넓은 지역에서도 화재 감지가
  용이함

송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되어있으며 각각 분리하여 대칭으로 설치하며, 화재 발생시 연기가 송광부에서 발사하는 광량(근적외광)을 일부분 차단하여 수광부에 도달하는 광량이 감소하는 것을 검출하여 수광부에서 화재를 감지한다.

초고감도 연기검출 능력
0.1%/m, 0.2%/m, 0.4%/m의 3기종으로
   관리청정도에 따라 선태가능
공기 강제흡입방식으로 상시 연기농도감시
전자회로와 연기검출부가 분리하여 연기검출부의
   신뢰성 극대화

컴퓨터실, 통신기계실, 반도체 생산실등 크린룸에 주로 사용하는 연기감지기로, 설치장소의 공기를 강제흡입하여 아주 미세한 연기농도까지도 감지할 수 있는 초고감도 연기감지기입니다. 사용장소의 관리청정도에 따라 선택가능토록 연기농도 감지능력에 따라 3종류의 연기감지기가 있으며, 수신기는 본 연기감지기를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수신기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영화관, 창고, 아트륨, 격납고등
  천정이 높거나 넓은 장소에 사용가능
연기감지기 설치가 부적당한
  특정 방화대상 장소에 설치 가능
나트리윰등,형광등의 인공조명에는
  오동작 않음
4.3㎛대역에서 방사되는 적외선
  에너지 감지

 

화재시의 불꽃은 일반 고온물체에서 방사하는 에네르기와 상이하며, 다량의 탄산가스에서 방사되는 파장은 4.3㎛부근에서 피크(Pick)를 이루는 적외선이 2~15㎐정도로 방사된다. 이러한 화재시 특유한 현상을 "Co2공명방사"라고 한다. Co2공명방사 대역의 파장을 광학휠터를 통하여 초전소자로 검출하여 교류앰프(AMP)로 증폭, AC-DC변환회로등을 거쳐 화재 판정회로를 동작시켜 수신기에 화재신호를 송출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