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람밸브 작동 원리

 

알람밸브_작동원리-숭의[1].doc

 

 

드라이밸브 분해 및 복구 순서

 

드라이밸브_분해_및_복구_순서[1].doc

 

System의 개요

가장 일반적인 스프링클러 설비로써 1, 2차측에 가압수가 충압 되어 있으며

유수검지 장치로는 Alarm Check Valve를 사용한다. 화재가 발생하면 헤드가

개방되어 2차측의 물이 방출되며 이때 Alarm Check Valve가 개방되어 1차측의

가압수가 2차측으로 유입 되어 방사되는 설비이다.

 

 

Alarm Check Valve Setting & Resetting (작동준비 절차)

  1 Valve의 작동 후 그림에서 ⑦번 1차측 제어밸브를 폐쇄하고 경보 정지 Valve

  폐쇄하고②번 Main Drain Valve를 통해 가압 수를 완전히 배수 시킨다.

  2 배수가 완료된 후 손상된 Sprinkler Head를 교체하거나 주변 복구 작업을 끝낸다.

  3 ④번 경보 정지 Valve를 폐쇄시킨 후 ⑦번 1차측 제어밸브를 서서히 개방하여

  Alarm Check Valve의 상태를 확인하며 2차측 배관 내에 가압 수를 충압 시킨다.

  ⑤번 1, ⑥번 2차측 압력게이지의 압력이 규정압력이 되는지를 확인한다.

  4 1, 2차측 배관내의 압력이 동일압력이 되면 Alarm Check Valve Disc는 자동으로

  폐지되며 가압송수장치(Pump) 정지된다.

  5 ④번 경보정지 Valve를 개방하여 누수에 의한 Disc 개방 및 화재경보를 발신하지

  않으면 Setting이 완료된 것이며 화재에 대비할 수 있게 된다.

 

 

Alarm Check Valve 점검 (Test)

1 ②번 Drain Valve에 부착되어 있는 핸들을 돌려 개방한다. (이때 2차측 압력이

감소된다.)

2 클래퍼가 개방되어 Alarm Switch(압력Switch)가 작동하여 경보장치가 작동하여

알람(Alarm)이 울린다.

3 수신 반에 의하여 해당방호구역의 화재 표시등 점등 된다.

4 가압송수장치(펌프)가 작동하여 ②번 Drain Valve를 통해 방수 된다.

5 작동 상태 확인 후 ②번 Drain Valve를 폐쇄하면 가압송수장치(Pump)가 정지한다.

6 수신반의 복구 또는 자동복구 Switch를 눌러 복구 시킨다.

 

 

  Alarm Check Valve 유지관리

1 Alarm Check Valve 2차측 배관내의 물을 가압 유지하는 습식 소화용 Valve

이므로 동절기에 동파 방지를 위한 보온 공사의 병행 및 동파 방지를 위한

주의가 필요하다.

2 이물질에 의한 Setting 불량일 경우

1차측 개폐 시형 Valve와 경보정지 Valve를 폐지하고 Main Drain Valve

완전 개방하여 이물질을 여과 방수 시킨다.

ⓑ외부의 덮개 및 Plug를 풀고 이물질을 제거한 후 복구 시킨다.

Retard Chamber는 경보 Line을 정확하고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정기적으로

이물질 청소 및 점검을 한다.

 

 

 

 

  

 

=======================================================================================================================================================

습식 알람밸브의 구조와 원리

「습식 알람밸브의 부속명칭 」

    

1차측 압력계
유수검지장치에 직접 물을 공급하는 입상관의 압력을 지시한다.


2차측 압력계 
직접 또는 수직배관을 통하여 가지배관에 물을 공급하는 교차배관의 압력을  지시한다.

압력스위치
화재시 수신반에 알람밸브의 개방구역을 표시하고 경보를 발생하게 한다.

배수밸브 
알람밸브로부터 흘러나온 물을 배수 시키며 유수검지장치의 작동시험시에 사용한다.

리타딩챔버 (retarding chamber)
알람밸브의 클래퍼가 조금만 열려도 압력수가 흘러 들어가게 된다.
이때 소량의 물은 자동 배수가 되며 일시에 많은 물이 유입되어 챔버내에 가득차게 되면 상단부의 압력 스위치의 밀어 접점을 붙인다.
리타딩챔버의 용량은 약 1ℓ 정도로 쓰이나 제품의 제작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며 또한 누수로 인한 유수검지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로서 지속적이 아닌 순간적 압력을 상부의 압력스위치에 전달되지 않게 하여 오보를 막아주고 과도한 압력은 오리피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 시키면서 안전밸브의 역할과 배관 및 압력스위치의 손상을 막아준다
일반적으로 20초정도 압력스위치의 작동을 지연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리타딩 챔버 대신에 경보용 압력스위치에 시간지연회로 및 장치를 설치하여 클래퍼(Clapper)가 개방되면 시간지연을
거쳐 접점을 형성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알람밸브(Alarm valve)
경보와 체크밸브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알람체크밸브(Alarm check valve)이다.
폐쇄형 헤드의 감열부가 작동하여 개방되면 2차측으로 유수가 발생하여 이로 인하여 알람밸브의 클래퍼(Clapper)가 개방되고

2차측을 배관의 물이 흘러간다. 이때 경보용 압력스위치가 작동하여 수신반에 알람밸브의 개방구역을 표시하며 경보가 발생하게 된다.
이후 펌프실의 압력챕버에서는 배관내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펌프를 가동시킨다.
클래퍼의 개방은 제조회사 마다 다르며 보통 17 lpm 초과시 클래퍼가 열리도록 제작된다.

세팅방법
Ⅰ.게이트 밸브(OS & Y밸브)또는 버터플라이 밸브 , 경보용 압력스위치 밸브 . 배수밸브 및 배관말단의 시험밸브를 모두 닫는다.
Ⅱ.가압펌프를 수동으로 작동시킨다.
Ⅲ.1차측과 2차측 압력계의 볼밸브를 연다.
Ⅳ.게이트 밸브 또는 버터프라이 밸브를 서서히 개방시키면서 클래퍼가 개방된 후 배관내 압력이 가압되어 1차측과 2차측의
    압력이 같아지면 클래퍼가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Ⅴ. 1,2차측 압력계가 동일한 압력으로 설정되는지를 확인한 후 알람밸브 뒤쪽에 있는 경보용 압력스위치밸브를 열어둔다.
Ⅵ. 클래퍼의 개방이나 경보가 발생하지 않으면 세팅이 정상적으로 완료 된 것임

=======================================================================================================================================================


알람밸브 압력스위치가 복구가 안된다면 조치방법은 ?


알람밸브가 동작되었는데 복구 되지 않에 어떻게 조치 해야 하나

 

대형 빌딩의 경우 펌프 기동으로 순간적으로 알람밸브가 동작되었거나, 알람밸브 동작시험후 오랜 시간이 지난후에도 자동으로 알람밸브 압력스위치가 복구 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이런 경우 압력스위치 선을 분리 해놓거나 경보시험밸브를 잠근상태에서 관리하는 경우가 종종있습니다. 


 이렇게 관리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해서 헤드가 개방이 되어서 알람밸브의 압력스위치가 동작 되지 않아 근무자가 화재사실을 늦게 발견하여 조치기 늦어질수 있습니다.



↑ 알람밸브 사진


동결, 헤드 불량등으로 스프링클러 헤드가 개방되어 알람밸브가 개방되어 압력스위치가 동작되어 수신기에 알람밸브가 동작되었다는 사실을 알려주지 못하여 헤드에서 물이 계속나와도 근무자가 알수 없어 엄청난 수손 피해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따라서 알람밸브를 정상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알람밸브가 개방되어 압력스위치가 복구가 되지 않는 경우 조치 방법은   

1. 알람밸브 내의 클래퍼가 이물질등에 의해서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경우

     알람밸브에 부착된 경보정지를 잠그면 압력스위치가 복구된다면 알람밸브내부에 클래퍼와 시트사이에 용접똥등 이물질에 의하여 클래퍼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경우입니다.

 

 조치 방법


 첫번재 방법


 알람밸브에 부착된 드레인 밸브를 순간 개방하여 배수되는 물에 흐름에 의하여 이물질이 제거 될수 있습니다. 이때 수신기의 복구스위치를 눌러 복구가 되면 이물질이 제거가 된 경우입니다. 위의 방법을 2-3번 반복해봅니다.




2번째 방법

첫 번재 방법으로 복구되지 않았다면 1차측 개폐밸브를 잠그고 배수밸브를 열어 2차측 배관내에 물을 완전히 배수시킨후 전면 커버를 분리한후 클래퍼와 시트 사이에 이물질을 제거하고 깨끗한 천으로 닦아 줍니다. 전면 커버를 닫고 1차측 개폐밸브를 서서히 개방하여 2차측에 물을 완전히 채운후 수신기에서 복구가 되었는지 다시 확인한다.

 

2. 압력스위치와 연결된 배관이 막혀 있는 경우 

 경보정지 밸브를 잠그어도 알람밸브의 압력스위치가 복구 되지 않는 경우는 압력스위치와 연결된 배관이 막혀 있어 물이 빠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 조치 방법 : 압력 스위치와 연결된 배관을 분해 해서 이물질을 제거해줍니다.


 

3. 클래퍼의 고무시트 파손 

알람밸브 내부의 클래퍼와 연결된 고무시트가 훼손또는 변형되어 시트와 밀착이 되지 않아 압력스위치쪽으로 물을 공급해주는 경우입니다.

 * 조치방법 : 알람밸브 전면을 분해하여 고무시트를 교체해줍니다.


 

4. 알람밸브 압력스위치가 불량

 알람밸브 압력 스위치가 불량인경우가있습니다. 

 * 조치방법 : 알람밸브 압력스위치를 교체해줍니다.


알람밸브의 압력스위치는 헤드개방등으로 2차측 물이 흐를경우 알람밸브 크래프가 열이는 경우 압력스위치가 동작하여 화재신호를 알려주는 중요한 역활을 합니다. 압력 스위치가 기능을 정상적으로 못할경우  화재또는 오동작시 인명및 재산피해가 우려되므로 정상적인 상태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알람밸브_작동원리-숭의[1].doc
0.07MB
드라이밸브_분해_및_복구_순서[1].doc
1.95MB

'● Engine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설비 관련  (0) 2011.05.19
프리액션 밸브 동작원리  (0) 2010.11.27
주차구획선 도료  (0) 2010.10.11
감지기의 설치 기준  (0) 2010.10.10
감지기 종류 / 소방  (0) 2010.10.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