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형 1급 수신기 내,외부 결선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발신기세트 내부결선-2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발신기세트 내부결선-1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자동화재탐지설비 관리 및 점검 체크리스트 경보설비

2006/07/07 14:51

http://blog.naver.com/sinnary7/26156406

 ● 수신기 및 중계기(외관점검) 관리 및 점검 체크리스트  

 - 상시 감시가 가능한 장소인가 확인(중계기는 제외)

 - 조작 및 점검에 지장이 없도록 공간이 확보되었는가 확인

 - 파손이나 오손으로 경계구역 표시가 불분명하지는 않는가 확인

 - 전압계는 정격전압(24V)을 항상 유지하고 있는가 확인

 - 감지기의 오동작을 우려하여 주경종, 지구경종 스위치를 중지상태로 유지하고 있지는 않은가에 유의

 - 경계구역 일람표를 비치하였는가 확인

 - 퓨즈, 램프등의 예비품 비치확인 - 퓨즈의 용단상태 및 규격품 사용여부를 확인

 - 각 회로 시험 스위치의 릴레이 작동상태 확인

 - 송, 수화기를 이용한 수신기와 발신기간의 명료한 통화상태 확인

 - 연동설비가 있는 경우, 이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설비의 작동이 되는 가를 확인
 - 도통시험, 동작시험을 정상인가 확인

 

   ● 감지기 관리 및 점검 체크리스트

 - 감지기 외형의 변형, 손상, 탈락 유무 확인

 - 설치 후의 용도변경, 간막이 공사 등으로 인한 감지기의 적응성 또는 미 경계구역 확인

 - 감지구역 설정의 적정여부 확인

 - 감지기의 기능 장애 요인 확인

 

   ● 발신기 관리 및 점검 체크리스트

 - 점검 및 사용상의 장해요소 확인, 특히 전면에 물건의 적재등에 유리

 - 부식 등에 의한 기능장해와 누름버튼의 보호판 손상 등에 유의

 - 누름버튼 동작시 음향장치가 정상 작동되고, 표시등은 점등되는지 확인

 - 수신기측과 전화연락 가능 확인

 - 조작이 용이한 위치인가 확인

 

   전원 관리 및 점검 체크리스트

 - 수신기에 내장된 축전지의 부식, 손상 상태 및 리드선 접속부의 부식 등 확인

 - 충전장치의 이상발열 확인

 - 회로의 결선상태 확인

 - 단자전압이 24V인가 확인

 - 상용전원을 복구한 때에는 상용전원으로 자동 전환되는지 확인

 - 비상전원으로 전환된 상태에서 수신기의 기능이 정상인가를 확인 (동작시험뿐만 아니라 감지기 가열시험등을 실시하며,

    화재표시가 되고 음향장치가 정상작동되는지를 확인)

 

   ● 배선 관리 및 점검 체크리스트

 - 일반적으로 600V 2종 비닐전연전선(HIV)을 사용한 내화, 내열배선이 되어야 하며, 아날로그식, 다신호식 감지기나 R형 수신기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전자파 장해를 방지하기 위해 실드선을 사용하는 것에 유의

 - 경보설비 배선에 고압선이 교차되거나 동일 관 내에 수납되었는가에 유의

 - 간막이 등에 의하여 감지기 배선을 임의로 분기할 때에는 송배선방식 특히 유의

자동화재탐지설비 (4) 음향장치, 중계기, 전원, 배선 경보설비

2006/07/07 14:46

http://blog.naver.com/sinnary7/26156245

4) 음향장치

  일반적으로 음량과 음색이, 다른 기기의 소음 등과 구별되는 "벨"을 사용하고 있지만, 규격용어는 "음향장치"로서 벨 이외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벨 이외의 것은 전자회로가 사용되며, 일정 주파수를 발신시켜 이들을 작동시킨다.

  음향장치는 수신기의 직근에 설치하는 주음향장치와 건물 구내 즉, 계단, 복도, 통로 등에 설치하는 지구음향장치로 분류하며,

  주음향장치는 건물의 관리자에게, 지구음향장치는 건물내 수용된 사람들에게 통보하는 기능이 있다.

  <기술기준규칙 제87조> - 각 층마다 수평거리 25m이내에 설치(자동화재탐지설비가 방송설비와
연동 설치시 제외)
- 5층 이상으로서 연면적 3,000m2를 초과하는 건물은 발화층과 적상층 우선 경보방식 채택

 

 5) 중계기

  중계기는 감지기 또는 발신기에 의한 화재신고를 수신기로 보내고 또한, 소화설비,제연설비 등에 제어신호를 발신하는 것이다. 감지기 및 발신기와 수신기의 중간에 중계기를 설치하여 각 회선별 고유신호를 발신하는 경우도 있지만, 최근에는 자동화재탐지설비 이외의 방재관련 설비에 감지기의 작동신호를 보내어 이를 작동시키는 것이 많다.

 R형 수신기가 설치된 건물의 방재설비는 대부분 이에 해당되며, 중계기는 단순히 수신기에 대한 신호변환의 역할만이 아닌 타 설비에 화재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다. 또한, 수신기와의 전송선 이상시 중계기가 독자적으로 화재를 감시,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기술기준규칙 제84조> - 수신기에서 직접 감지회로의 도통시험을 행하지 않는 것은 수신기와 감지기 사이에 설치하여야 한다. - 퓨즈의 융단이나 브래커의 차단등이 발생한 경우, 자동으로 수신기에 신호를 보낼 수 있어야 한다. - 중계기에는 회로 도통시험 및 예비전원 시험을 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6) 전 원  

상용전원은 축전지 또는 교류전압의 옥내 간선으로서 배선 도중에 다른 배선을 분기하지 않아야 한다. 비상전으로서의 축전지설비는 통상 니켈카드뮴 전지를 사용하며, 정전시나 정전복구시에는 자동 전환되어야 한다.(60분이상 감지상태 지속 후 10분 이상 경보를 발할 수 있을 것)  

 

7) 배 선

  배선은 전기설비 기술순주에 관한 규칙에서 정한 바에 따르되 특히, 상시 개로인 배선에는 쉽게 도통시험을 할 수 있도록 종단저항을 설치하고, 감직 사이의 배선은 반드시 송배선식으로 한다. P형 수신기의 감지기 회로 공통선은 1본에 대하여 7경계 구역 이하로 한다.

 

 - 전원회로의 배선 : 내화배선 - 기타배선 : 내화 또는 내열 배선 실드선

 - 감지기 회로의 전로저항은 50 이하일 것  

자동화재탐지설비 (3) 발신기 경보설비

2006/07/07 14:34

http://blog.naver.com/sinnary7/26155781

3) 발신기

발신기는 감지기가 작동되기 전에 화재를 발견한 사람이 누름버튼을 조작하여 수신기에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서, 국내에서는 P형 발신기가 사용되고 있다. P형 발신기는 수동으로 수신기에 신호를 발신하는 것으로서 수신기와의 전화연락장치 여부에 따라 1급과 2급으로 구분하고, 방수성의 유무에 따라 옥외형과 옥내형으로 구분한다.   <기술기준규칙 제88조> - 조작이 쉬운 장소에 설치하고, 누름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의높이에 설치한다. - 발신기는 감지기 회로의 끝부분에 설치한다. - 층마다 설치하고, 각 부로부터 발신기까지의 수평거리가 25m 이하가 되도록 한다. - 발신기 상부에 설치되는 위치표시등은 부착면과 15도 이상 각도의 10m 거리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적색등이나, 발광식 또는 축광식 표지로 하여야 한다.

 

  <종류>

㉮ P형 발신기
∼ 수동에 의하여 공통인 신호를 수신기에 발신하는 것으로, 발신과 동시에 통화가 불가능한 것으로 전화기를 전화잭에 접속함으로써 통화가 가능하다.
㉯ T형 발신기
∼ 수동에 의하여 각 발신기의 공통인 신호를 수신기에 발신하는 것으로 발신과 동시
에 통화가 가능하다.
㉰ M형 발신기
∼ 수동에 의하여 각 발신기의 고유 신호를 수신기에 발신하는 것을 말한다.
<발신기의 기능>
발신기는 감지기가 작동되기 전에 화재를 발견한 사람이 누름버튼을 조작하여 수신기에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서,국내에서는 P형 발신기가 사용되고 있다. P형 발신기는 수동으로 수신기에 신호를 발신하는 것으로서 수신기와의 전화연락장치 여부에 따라 1급과 2급으로 구분하고,방수형의 유무에 따라 옥외형과 옥내형으로 구분된다.
*.P형 발신기의 구조
일반적으로 P형 수신기나 R형 수신기 또는 중계기에 접속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감지기가 자동적으로 화재를 검출하여 화재신호를 보내는 것에 비하여 P형 발신기는 화재를 발견한 사람이 합성수지로 되어 있는 보호판을 파괴하고 누름 스위치를 눌러서 수신기에 화재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 Engine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자동화재탐지설비  (0) 2011.05.19
[스크랩] 슈퍼비죠리판넬 내부결선도  (0) 2011.05.19
소방설비 관련  (0) 2011.05.19
프리액션 밸브 동작원리  (0) 2010.11.27
알람밸브 작동원리  (1) 2010.11.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