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트펌프 방식와 인버터 방식의 차이

 

 

먼저 DVM 계열의 시스템 에어컨은 한대의 실외기로 최대 6대의 실내기르 가능케 하는 시스템에어컨을 이야기합니다.

이 에어컨의 방식은 EHP 즉 전기히트펌프로서 냉난방원리는 전기를 이용해서 압축기를 구동하여 냉매를 응축기(실외 열교환기)와

팽창변 그리고 증발기(실내 열교환기)를 순환시키는 사이클을 통해 열을 이동시키는 원리로 냉난방을 합니다.

 

냉방운전은 냉동 사이클원리와 같이 냉매가 압축기를 통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가 되어 응축기(실외기 열교환기)를 지나면서

응축(기체에서 액체)이 되면서 열을 방출합니다.

그리고 팽창변을 통해 감압된 냉매는 증발기(실내 열교환기)를 통해서 증발(액체에서 기체)이 되면서 실내의 열을 흡수하는 원리로 냉방이 되는 것입니다.

 

 

반대로 난방운전은 에어컨 내부에 4way 밸브(사방변 밸브)의 동작에 의해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가되며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의 역할을 하면서 이뤄집니다.

즉, 압축기를 통해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4 way 밸브의 동작에 의해서 바로 실내 열교환기(응축기)로 이동하여 응축을 하여 실내에 열을 공급하고

실외 열교환기(증발기)로 이동하여 증발하는 사이클이 형성이 됩니다.

 

 

실내기류 영향에 의해 발생되는 상하 층간 실내 온도를 실내온도 감지센서가 체크하여 편차를 최소화하여 최적의 실내온도를 유지해 줍니다.

실내기 또한 유선리모컨을 통해 실내온도 감지 조건을 설정할수 있죠..

또한 높은 천장에서도 기류가 바닥까지 도달하는 풍속을 제어 할수 있어 5.2m의 높은 천장에서도 설치가 가능합니다.

 

자가 진단 기능으로 높은 곳에 있는 제품의 고장 유무를 좀더 쉽게 알수 있고.
누수를 보완하는 잠금 방식 배수 호스를 가지고 있어 누수 염려가 없다. 그러므로 히트펌트는 운용 방식이며,

 

인버터는 절전 기술을 이야기 하는데, 하우젠 제품은 절전 제품으로 두가지 사양이 있다.

 

1. 인버터 에어컨은 1개의 콤프레셔로 10 ~ 160%까지 상황에 따라 용량을 변화시켜 유동적으로 냉방하여 냉방, 난방 효율을 높이는 제품으로.

   적은 냉방이나 난방이 필요한 때는 컴퓨레셔를 10%만 운전하고, 강력한 냉방이 필요할때는 컴프레셔를 최대160%까지 운전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기소모가 없어져 더욱 경제적인 시스템입니다.

 

2. TCS방식 (Tandem Clooing System) : 소형과 대형 2대의 압축기가 장착되어 운전상태에 따라 소형, 대형, 소형과 대형 모두 가동으로 냉방기류와

   압축기의 운전을 다르게하여 필요한 부분에 필요한 만큼만 효과적으로 냉방을 하면서 전기료를 절감할 수 있는 신개념 운전시스템을 의미한다.

'● Engine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수 오뚜기볼 점검 방법  (0) 2017.08.11
PVC PIPE / 배수용 / 일반용 VG  (0) 2016.09.06
에어컨 구조  (0) 2016.08.05
[스크랩] 스모렌스키체크밸브 정위치 모습  (0) 2016.05.18
[스크랩] 유도등 설치  (0) 2016.05.13

+ Recent posts